본문 바로가기
투자뽀개기/국내 종목분석

SK텔레콤_통신 배당주

by 요약하는 김여사 2023. 12. 12.

 

SK텔레콤

SK telecom

 

SK telecom

기술과 서비스로 고객을 이롭게 하는 AI Company

www.sktelecom.com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

  • 모바일 통신 사업 

5G, LTE, 3G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

MNO(Mobile Network Operator)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 IT 서비스 사업

클라우드, AI, 빅데이터, IoT 

  • 콘텐츠 사업

 OTT(Over-The-Top) 서비스  웨이브(wavve)를 운영

  • 투자 사업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여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

 

연도 배당금(주당) 시가배당률  배당성장률  배당일  배당락일

2023년 830원 1.7% 10.0% 12월 29일 12월 28일
2022년 750원 1.6% 10.0% 12월 29일 12월 28일
2021년 680원 1.5% 10.0% 12월 29일 12월 28일
2020년 620원 1.4% 10.0% 12월 29일 12월 28일
2019년 560원 1.3% 10.0% 12월 29일 12월 28일

 

기업개요[기준:2023.10.04]

  • 동사의 사업은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포털 서비스 등의 기타사업으로 구분됨.
  • 시장점유율은 무선통신사업(MVNO제외) 약 4%, 초고속인터넷부문은 약 29%, IPTV부문은 약 31% 수준임.
  • 무선통신사업부문의 매출 비중이 약 75%, 유선통신 및 기타부문이 약 25%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재무지표2023년 3분기전년 동기 대비
매출 4조 5,612억 원 2.1% 증가
영업이익 3,021억 원 1.7% 증가
영업이익률 6.6% 0.2%포인트 하락
순이익 2,400억 원 1.4% 증가
순이익률 5.3% 0.1%포인트 하락
부채비율 0.77배 0.03배포인트 하락
자기자본비율 63.7% 0.1%포인트 상승

주요 재무지표 분석

  •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완만하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동통신 사업의 경쟁 심화와 신규 사업의 투자 확대로 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재무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이며,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비율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 이동통신 사업의 경쟁 심화
  • 신규 사업의 성공 여부
  • 글로벌 시장 진출

결론

전반적으로 SK텔레콤은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선두주자로, 양호한 재무건전성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이동통신 사업의 경쟁 심화와 신규 사업의 성공 여부 등은 SK텔레콤의 향후 성장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봉 2023.12.12

주봉 2023.12.12

 

 

뉴스

AI 스피커로 기억 훈련...SKT ‘노인 치매 이환율 낮춰’ 2023.12.11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를 활용한 기억 훈련 프로그램이 노인의 치매 이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도인지장애 노인 30명 중 1명만 치매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통상적인 경우의 연간 치매 이환율인 15% 수준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사업은 누구를 활용한 '두뇌톡톡'이라는 이름의 기억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두뇌톡톡'은 단어 맞추기, 연상 게임, 숫자 계산 등 다양한 인지훈련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SKT, 2023 DJSI 월드지수 편입  2023.12.10

SK텔레콤은 자사가 2023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월드지수에 편입되었다고 10일 밝혔다. DJSI는 세계 최대 금융정보 제공기관 'S&P Global'이 매년 발표하는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로, 글로벌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판단하고 투자자들의 책임투자 의사결정을 돕는 기준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반응형